SFU
- 네트워크 장비에서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중앙 처리장치
- 데이터 스위칭 장치에서 데이터를 라우팅 하고 전송하는데 사용
-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 식별해 패킷을 적절한 경로로 전송하는 역할
- 여러개의 포트를 통해 다양한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음
SFU가 라우터, 스위치와 다른 점
- SFU는 라우터, 스위치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빠른 전송속도와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
라우터 : 다른 네트워크 간 데이터 통신
스위치 : 로컬 네트워크 간 데이터 통신
AEU
- 어플리케이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된 하드웨어 모듈
- 어플리케이션 가속화 지원
- 어플리케이션 가속화 :
- 웹서버, 데이터베이스, 로드 밸런서 등의 어플리케이션 기능 향상 기술
- 빠른 응답시간
- 높은 처리량
- 어플리케이션 가속화 :
- TCP 세션 관리, SSL 암호화 기능 수행
- DDoS 공격 방어
TCP 세션관리 :
- TCP 프로토콜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두 호스트는 세션으로 연결 되어있다.
- TCP 세션관리는 이 세션을 설정, 유지, 해체하는 과정이다.
- TCP 세션관리의 세 가지 단계
- 연결 설정(TCP 3-way handshake) :
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연결 요청 패킷을 보냄
- 서버는 연결 수락 패킷을 보냄
- 연결
- 데이터 전송 : 연결 설정 후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데이터를 주고 받음
- 연결 해제 :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클라이언트나 서버 중 하나가 연결 종료 요청 패킷을 보낸다. 이를 수신한 호스트는 연결 종료
- 연결 설정(TCP 3-way handshake) :
- TCP 세션관리의 세 가지 단계
SSL 암호화 :
- 암호화 :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를 암호화해 노출의 위험에서 데이터를 보호하는 보안 프로토콜
- SSL 암호화의 두 가지 과정
- 핸드셰이크 과정 :
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할 때 SSL 연결 요청
-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SSL 인증서 제공
- 클라이언트는 인증서가 신뢰할 수 있는지 확인 후 서버와 세션 수립
- 데이터 암호화:
- SSL 연결 수립 후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 돼 전송
- 중간에 데이터를 가로채더라도 복호화하지 않으면 데이터 읽을 수 없음
- 핸드셰이크 과정 :
- 웹사이트의 개인 정보, 비밀번호, 결제 정보를 보호
- SSL 인증서를 SSL 연결을 수립할 때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 서버의 신원을 알림
- 최근에는 SSL프로토콜 대신 TLS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음
EIU(External Interface Unit)
- 각 장치들 간의 호환성 제공해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쉽게 하는 역할
- 다양한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연결 제공
- 데이터 전송 처리
SFU와 AEU가 연결되면
- SFU에서 처리한 패킷이 AEU로 전송돼 추가적인 가속화 작업을 받은 후 다시 SFU로 연결
- SFU는 AEU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AEU가 현재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Ready/Valid 신호 사용
- AEU에서 데이터 전송 준비가 되면 Valid 신호를 보내 SFU에게 알리고 SFU가 데이터 정송
- AEU가 데이터를 받으면 다시 Ready 신호를 보내 SFU에게 다음 데이터 전송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림
'IT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oad Balancer (로드 밸런서) (0) | 2023.04.24 |
---|